그동안 정기 후원은 플랜코리아에서 6-7년째 매달 후원을 하고 있었는데, 남편은 국내 아동을 후원하고 싶어해서 <디딤씨앗통장>을 신청하기로 했다.
디딤씨앗통장은 보육원(시설) 아동이나 한부모, 차상위계층 아동 등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후원자가 후원한 금액의 2배를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 형태이다.
일종의 아동 자립급으로 아동이 성인이 된 이후에 본인만 인출을 하여 자립금으로 쓸 수 있는 통장이다. 원래 정부에서 1:1 로 지원금을 적립해줬었는데 22년도부터인가 제도가 바뀌어서 1:2로 더 좋아졌다. 내가 낸 세금이 후원금에 2배가 더 붙으니 후원을 안할 이유가 없다.
다만 후원금이 한 달 5만원까지만 정부에서 2배로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보통 한 달 5만원을 많이 후원한다고 한다.
인터넷 정보를 보면 5만원 이하로 후원해도 다른 후원자들과 묶어서 한 달 5만원으로 맞춰준다는 이야기가 대부분이었는데, 디딤씨앗통장 주관하는 <아동권리보장원>에 문의 전화를 해보니 그렇게 묶어주는 게 쉬운 것 같지 않았다.
예를 들어 3만원 후원하면 그냥 그 금액 그대로 정부지원금 6만원 합쳐져서 9만원 지원되는 형태... 통장이 없는 아이들이 많을텐데 나중에라도 다른 후원자와 묶여서 5만원 맥스로 될지 안될지는 모르는 거다.
그래서 이왕이면 5만원 맞춰서 하는 게 마음이 편한 것 같다. 그러면 정부 지원금까지 한 달에 총 15만원이 적립된다. 5만원 이상 후원을 해도 되지만 5만원 초과 금액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이 되지 않는 점 유의.
후원 아동은 지정과 비지정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, 우리는 보육원 시설 아동을 지원하고 싶어서 문의를 했더니 꼭 보육원에 문의해서 아동 지정을 하지 않더라도 보육원 아동 지원이 가능했다!
물론 보육원에 따라 다르겠지만 후원 아동과 왕래를 하며 디딤씨앗통장 후원을 하는 후원자 분들도 있는 것 같던데, 그러기엔 좀 부담스러워서 후원신청서 낼 때 알려준대로 요청 사항을 적어서 제출했다.
후원 신청서를 보면 <후원 아동 결정>에서
1. 적립액이 저조한 아동 후원
2. 보장원에서 추천하는 아동 후원
3. 시설, 지자체 등을 통해 알게 된 아동 후원
이렇게 3가지 중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, 보장원에서 안내해주신대로 2번을 선택하고 괄호한 다음 <보육 시설 아동 후원- 남아 1명, 여아 1명> 이렇게 추가로 적어서 제출했다.
후원 신청 시에 금액과 명수를 적고 총 금액을 적게 되어 있어서 2명을 같이 적었다.
https://www.ncrc.or.kr/ncrc/cm/cntnts/cntntsView.do?mi=1035&cntntsId=1337
후원 신청서는 여기에서 한글이나 PDF 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고, 신청서 제출도 간단한다.
아래 이메일이나 문자로 제출하면 됨!
이메일 : adongcda@ncrc.or.kr
문자(후원자관리센터) : 1670-1834
몇 년 전에 보육원 아동 자립에 대해 이슈가 된 적이 있었는데, 마음이 너무 아팠다. 독립해서 나오면 정말 혼자 힘으로 살아가야 하는데 디딤돌씨앗통장 후원이 많아져서 최소한의 자립금이라도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.
나라에서 보육원 아동 자립 후 몇 년 간은 추후 관리를 하면서 경제적으로든 심리적으로든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. 경제적으로도 힘든데 심리적으로도 위축되어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도 하고, 사기를 당하기도 하고 자립금도 갈취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적어도 독립 후 최소 3년 간이라도 지원이 꼭 됐으면 좋겠다.
'건강한 삶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장품, 샴푸, 세제 등 성분과 제품 안전 등급 쉽게 확인하는 방법!!! / 화해 어플에 안나오는 전성분 안전성, 유해물질 확인하기 (0) | 2024.02.16 |
---|---|
[후원금 100프로 전달되는 기부처] 곧장기부/ 후원 방법, 후원 후기, 추천인 포인트 지급 등 (0) | 2024.02.05 |
산소발생기 효과/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서 굳이 사지마세요! 가정용 산소발생기 구입 전 먼저 해야할 일 (0) | 2024.01.29 |
혈뇨로 요로결석 진단 & 체외충격파 후기 / 원인 불명 but 비타민 c 메가도스 부작용이 의심됨 ㅠㅠ (0) | 2023.11.21 |
[A형 독감 치료제 비교] 타미플루(먹는 약) vs 페라미플루(수액) 비교/ 아이 추천 약과 부작용 등 정보 공유 (0) | 2023.10.3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