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쌀양: 불린쌀 120g*3= 360g
(생쌀 275g 30분 물에 불리기)
- 아직 후기 초기라서 생쌀을 260g만 넣었다. 물양도 이에 따라 조절~!
2. 채소: 30g 큐브사용
- 후기1단계 채소 권장량 3일분 총 225g- 270g 정도30g 채소큐브 7.5- 9개 들어가는 분량이다. 메뉴 구성할 때 하루 채소 종류가 7-9개 들어가면 됨! 후기 초반에는 양이 많을 수 있으니 7-8개 정도로 조절하자.
3. 4배죽. 육수+물양을 불린 쌀 양의 4배로 잡기!
1440ml
4. 고기양: 후기 1단계 3일분 총 270g-360g임. 닭고기 60g, 소고기 60g 두 끼 넣고 나머지 한 끼는 기타 단백질(콩류, 두부, 달걀 등)과 채소로 구성하여 메뉴를 짜기로 함. 육류 하루 120으로 3일분 총 360 맞춤.
- 찹쌀은 따로 계량해서 불림
- 잣은 7g, 약 35알을 넣었음.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있어서 양을 조금만 넣었고 지방 때문에 하루 10알 권장이라서 3일치 35알 정도 넣었음 (조리 과정에서 소실분 고려) 이유식용으로 무농약 잣을 주문해서 사용했는데 큰 차이는 모르겠고 가격은 차이가 많이 남;; 확실히 조리과정에서 유분이 느껴지고 완성된 죽에서 고소한 냄새가 났다.
잣은 잘 씻은 후 갈아서 넣었다.
잣과 애호박, 찹쌀, 닭고기가 궁합이 좋다그래서 같이 써봤다. 잣을 쓰면 죽이 묽어질 수 있어서 고구마같이 점도를 맞춰줄 수 있는 걸 넣어주는 게 좋다고 함. 기분탓인지 평소보다 좀 묽은 느낌이 나긴 했다.
- 근대는 적근대만 주문이 가능해서 그동안 청근대를 써왔지만 이번에는 적근대를 써봤다. 뒤집어서 줄기부분을 제거하는데 줄기부분이 붉은 색이라 마치 대동맥을 자르는 것 같은 느낌이라 기분이 이상하고 잎 뒷부분도 너무나 징그러웠다; 데치고 짜고 다지는 과정에서 붉은 물이 피처럼 나왔다; 적근대가 청근대보다 영양분이 더 많다고는 함.
<완성>


댓글